[위클리오늘=조은국 기자] 미래에셋증권의 한 지점에서 직원이 고객 돈을 임의로 투자했다가 손실을 낸 금융사기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은 이 사건을 개인 비리로 국한시키고 회사는 ‘잘못이 없다’는 식으로 일관해 비난을 사고 있다.
3일 강남경찰서와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서울 강남 모 지점에서 근무하는 박모 (38) 과장은 지난해 초부터 그해 11월까지 고객의 돈을 모아 임의로 파생상품에 투자하다 손실을 냈다. 피해자는 10여명이고 피해금액은 3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박 과장은 연 10% 이상의 고수익을 보장한다며 투자자를 유인하고 투자 자금을 타 증권사에 개설된 타인 명의의 계좌로 받았다.
이번 사건은 돈을 돌려받지 못한 피해자가 지난달 말 미래에셋증권에 제보하면서 드러났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체 감사를 벌인 뒤 지난달 27일 금융감독원에 신고하고 박 과장을 경찰에 고발했다. 박 과장은 현재 대기발령 상태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번 사건과 관련, 내부통제시스템도 문제가 없고 윤리교육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회사의 잘못이 아니라 개인의 도덕성 문제라는 입장을 내놨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돈에 눈이 먼 직원이 치밀하게 계획해 저지른 범죄”라면서 “정기 감사를 진행하는 등 내부통제시스템은 문제가 없고 직원들을 대상으로 윤리교육도 하고 있어 회사의 문제는 아니다”고 강변했다.
홍성준 투기자본감시센터 사무처장은 이에 대해 “피해자들이 지점 직원을 보고 돈을 맡긴 것이 아니라 미래에셋증권을 보고 돈을 맡긴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회사의 관리 책임이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홍 처장은 “금융감독당국은 개인의 징계로만 끝낼 것이 아니라 미래에셋증권의 내부통제시스템을 철저히 점검하고 기관제재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9월에도 경기도 분당 모 지점 직원이 고객의 계좌에서 21억원을 횡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직원 역시 횡령한 돈을 파생상품에 투자했다 대부분 날렸다.
*바로가기 :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