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오늘=조은국 기자] 금융감독원이 1조8000억원대 KT ENS 사기대출에 금감원 현직 간부가 연루된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서도 ‘쉬쉬’했던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앞서 카드사에서 유출된 개인정보가 시중에 추가 유통된 사실을 미리 통보받고도 이 역시 알리지 않아 비난을 피하기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자본조사1국 김모 팀장이 KT ENS 사기대출에 개입한 사실을 적발, 김 팀장을 이달 초 직위해제하고 대기발령했다. 검찰에도 수사의뢰했다.
금감원은 지난달 내부 직원이 사기대출에 개입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지난달 말 부랴부랴 내부 감찰을 벌여 김 팀장의 비위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금감원은 이달 19일 경찰 수사결과 발표가 있기 전까지 침묵했다.
김 팀장은 지난 2005년부터 KT ENS 사기대출의 주범인 중앙티앤씨와 NS쏘울 대표들과 가깝게 지내면서 부동산 등 수억원대의 금품을 챙기고 해외골프 접대 등 향응을 제공받았다.
김 팀장은 또 지난 1월 KT ENS 사기대출 관련해 금감원이 조사에 착수하자 이들 대표에게 조사 사실을 알려 한 명이 해외로 도피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이달 초 카드사에서 유출된 개인정보가 추가로 시중에 유통된 사실을 검찰 발표 열흘 전에 통보받았지만 이를 알리지 않고 쉬쉬했다.
금감원은 KT ENS 사기대출에 금감원 간부가 연루된 것과 개인정보 추가 유통 사실을 알리지 않은 것과 관련해 “당국의 수사가 진행 중이라 공표할 수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사상 최악의 대출사기와 개인정보 유출로 여론이 들끓고 있는데도 금감원은 제 치부 감추기에만 급급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홍성준 투기자본감시센터 사무처장은 “금감원이 기관 이기주의에 사로잡혀 비리 사실을 숨기는 등 제 치부 감추기에만 급급했다”면서 “금융감독 기능을 상실했다”고 지적했다.
홍 처장은 또 “금감원은 이미 금융자본에 종속돼 있는데다 권한이 막강한데도 책임은 지지 않고 있다”며 “부패하고 무능한 금융감독체계를 개혁해야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로가기 : 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7342
|